미국·유럽서 인기 급상승…한류 열풍 속에 '건강식·비건 음식' 인식
한인마트 넘어 월마트·코스트코서 판매…대상, 폴??
![]() |
|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김치 상품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
![]() |
| ▲ 미국 조지아주 정부 '김치의 날' 선포 미국 조지아주 정부 '김치의 날' 선포 (애틀랜타=연합뉴스) 이종원 통신원 =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가 14일(현지시간) 애틀랜타에 위치한 주 청사에서 한인사회 대표들과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선포하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2.12.15 higher2501@yna.co.kr |
외국서 기념 '김치의 날'…올해 김치수출 '사상 최대' 기록할 듯
올해 1∼9월 김치 수출액 1억1천887만달러…지난해 동기 대비 10.6% 증가
미국·유럽서 인기 급상승…한류 열풍 속에 '건강식·비건 음식' 인식
한인마트 넘어 월마트·코스트코서 판매…대상, 폴란드에도 김치공장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올해 김치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서 '코로나 특수' 당시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치는 전 세계적인 한류 열풍 속에 '건강식', '비건(채식) 음식'이라는 인식이 자리를 잡으며 미국과 유럽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31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김치 수출액은 1억1천886만5천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6% 늘었다. 김치 수출량은 3만3천828t(톤)으로 8.1% 증가했다.
김치 수출액은 2019년 1억499만2천달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첫해인 2020년 1억4천451만1천달러로 급증했고 2021년에 더 늘어 1억5천991만5천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김치는 외국에서 면역력을 높여주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해 '코로나 특수'를 누렸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지자 지난해 수출액은 1억4천81만6천달러로 11.9% 줄었다.
김치 수출량 역시 2021년 4만2천544t으로 최대치를 찍었다가 지난해 4만1천118t으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김치 수출액과 수출량이 증가세로 돌아서 2021년에 기록한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울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올해 1∼9월 김치 무역수지는 329만2천달러로 2021년에 이어 2년 만에 다시 흑자를 기록할지 주목된다.
올해는 코로나 특수라는 '단발성 이벤트' 때문이 아니라 외국에서 한국 김치가 K-푸드 대표 음식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 'K-김치'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올해 1∼9월 대(對)미국 김치 수출액은 3천64만4천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41.2% 증가했고 대네덜란드 김치 수출액은 551만달러로 15.7% 늘었다.
이는 최대 수출국인 일본(4천877만2천달러)이 3.1% 증가하는 데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수출국인 일본과 동남아 국가보다 미국과 유럽의 성장 속도가 빠른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과거에는 주로 한인 마트에서 한국 김치가 판매됐으나 지금은 월마트, 코스트코 등 현지 대형 유통 채널에서도 판매된다.
해외로 '종가' 김치를 수출하는 대상 관계자는 "이제는 미국에서 김치 소비의 70% 정도는 현지인들 소비"라며 "한류 열풍 속에 김치를 경험해볼 기회가 많아졌고 비건 트렌드에 맞춰 헬씨푸드(건강식)라는 인식까지 형성되며 소비가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K-김치의 인기를 증명하듯 미국과 유럽에서는 '김치의 날'(11월 22월)을 기념하는 지역들도 늘고 있다.
김치사랑하와이재단은 김치의 날인 다음 달 22일 해외에서는 처음으로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 김치박물관을 개관할 예정이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주, 버지니아주, 뉴욕주, 워싱턴DC가 김치의 날을 제정·선포한 바 있고 미국 연방 하원은 오는 12월 6일 본회의에 김치의 날 결의안(HR 280)을 올려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영국 런던 남서부 자치구인 킹스턴구는 유럽에서 처음으로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지정해 매년 기념하기로 했다.
대상은 해외 시장이 갈수록 커짐에 따라 지난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김치 공장을 완공한 데 이어 올해 '서울' 김치 등을 판매하는 아시안 식품 전문회사 럭키푸즈를 인수해 김치 생산기지를 추가로 확보했다.
아울러 유럽 시장을 겨냥해 내년 폴란드에 김치 공장을 준공하고 2025년부터 김치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표] 연도별 김치 수출입 추이(단위: t, 천달러)
┌──────┬──────┬─────┬─────┬─────┬─────┐
│기간│수출중량│ 수출금액 │ 수입중량 │ 수입금액 │ 무역수지 │
├──────┼──────┼─────┼─────┼─────┼─────┤
│2007│26,470│75,309│ 218,910│ 110,166│ -34,857│
├──────┼──────┼─────┼─────┼─────┼─────┤
│2008│26,898│85,295│ 222,370│ 112,715│ -27,420│
├──────┼──────┼─────┼─────┼─────┼─────┤
│2009│28,505│89,386│ 148,125│66,335│23,051│
├──────┼──────┼─────┼─────┼─────┼─────┤
│2010│29,672│98,360│ 192,936│ 102,019│-3,659│
├──────┼──────┼─────┼─────┼─────┼─────┤
│2011│27,429│ 104,577│ 230,078│ 120,874│ -16,297│
├──────┼──────┼─────┼─────┼─────┼─────┤
│2012│27,664│ 106,608│ 218,845│ 110,842│-4,234│
├──────┼──────┼─────┼─────┼─────┼─────┤
│2013│25,631│89,277│ 220,218│ 117,431│ -28,154│
├──────┼──────┼─────┼─────┼─────┼─────┤
│2014│24,742│84,033│ 212,938│ 104,396│ -20,363│
├──────┼──────┼─────┼─────┼─────┼─────┤
│2015│23,111│73,543│ 224,124│ 113,237│ -39,694│
├──────┼──────┼─────┼─────┼─────┼─────┤
│2016│23,490│78,900│ 253,432│ 121,485│ -42,585│
├──────┼──────┼─────┼─────┼─────┼─────┤
│2017│24,311│81,393│ 275,631│ 128,679│ -47,285│
├──────┼──────┼─────┼─────┼─────┼─────┤
│2018│28,197│97,456│ 290,742│ 138,215│ -40,759│
├──────┼──────┼─────┼─────┼─────┼─────┤
│2019│29,628│ 104,992│ 306,050│ 130,911│ -25,918│
├──────┼──────┼─────┼─────┼─────┼─────┤
│2020│39,748│ 144,511│ 281,187│ 152,426│-7,914│
├──────┼──────┼─────┼─────┼─────┼─────┤
│2021│42,544│ 159,915│ 240,606│ 140,742│19,173│
├──────┼──────┼─────┼─────┼─────┼─────┤
│2022│41,118│ 140,816│ 263,435│ 169,400│ -28,584│
├──────┼──────┼─────┼─────┼─────┼─────┤
│2022(1~9월) │31,306│ 107,505│ 188,001│ 124,503│ -16,998│
├──────┼──────┼─────┼─────┼─────┼─────┤
│2023(1~9월) │33,828│ 118,865│ 212,495│ 122,157│-3,292│
└──────┴──────┴─────┴─────┴─────┴─────┘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