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조선시대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신석언해'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조선시대 때 중국어 학습서, 서울시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노걸대신석언해' 등 총 7건 유형문화유산·문화유산자료 지정 예고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시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중국어 학습서 노걸대신석언해(老乞大新釋諺解) 등 관내 유형문화유산 7건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과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유형문화유산은 노걸대신석언해와 정와선생문집 목판, 백련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괘불궤이다.
문화유산자료는 청량사 대웅전 산신도, 청량사 대웅전 신중도, 청량사 대웅전 아미타불회도, 청량사 대웅전 칠성도이다.
1763년 교서관에서 간행한 노걸대신석언해는 한어(漢語)본 중국어 학습 교재인 신석노걸대(新釋老乞大)를 한글로 옮겨 적고 중국어 음을 단 것이다.
언해본은 현재 남아 있는 자료가 희귀하며, 노걸대신석언해는 현전하는 국내외 유일본으로 가치가 높다.
정와선생문집 목판(訂窩先生文集木板)은 퇴계 이황과 학봉 김성일의 학맥을 계승한 안동의 학자 김대진(1800∼1871)의 문집 목판이다.
백련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궤는 짜임새 있는 도상 배치와 인물 표현, 선명한 채색과 치밀한 문양 도안이 돋보이는 괘불도이다. 지역성과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어 서울 지역 삼신불 괘불도의 기준작으로 평가된다.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된 청량사 대웅전 산신도·신중도·아미타불회도·칠성도는 본래 삼각산 삼불각에 봉안됐던 불화로, 20세기 전반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동하던 춘담 성한이 단독으로 일괄 조성한 불화이다.
4점 모두 화풍이 일관되고, 단정하며 정제된 솜씨를 잘 발휘한 것으로 춘담의 대표작이라 할만하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이들 7건의 문화유산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의견 수렴 후, 시 국가유산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시 유형문화유산과 문화유산자료로 지정할 예정이다.
문의는 시 문화유산보존과(☎ 02-2133-2630)로 하면 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