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공개 세계자연유산 용암동굴 신비 사진으로…화보 발간

Heritage / 고성식 / 2024-08-19 13:53:26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거문오름용암동굴계 8개 동굴 화보 '어둠에서 빛으로…14㎞의 여정'
▲ 세계자연유산 제주 용천동굴 (제주=연합뉴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 화보 '어둠에서 빛으로… 14㎞의 여정'이 최근 발간됐다. 사진은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용천동굴 내부 모습.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월정리 바닷가까지 약 14㎞를 이동하면서 형성한 용암동굴군을 말한다. 2024.8.19 [제주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 세계자연유산 제주 벵뒤굴 (제주=연합뉴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 화보 '어둠에서 빛으로… 14㎞의 여정'이 최근 발간됐다. 사진은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벵뒤굴 내부 모습.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월정리 바닷가까지 약 14㎞를 이동하면서 형성한 용암동굴군을 말한다. 2024.8.19 [제주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 세계자연유산 제주 만장굴 (제주=연합뉴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 화보 '어둠에서 빛으로… 14㎞의 여정'이 최근 발간됐다. 사진은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만장굴 내부 모습.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월정리 바닷가까지 약 14㎞를 이동하면서 형성한 용암동굴군을 말한다. 2024.8.19 [제주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 세계자연유산 제주 당처물동굴 (제주=연합뉴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 화보 '어둠에서 빛으로… 14㎞의 여정'이 최근 발간됐다. 사진은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당처물동굴 내부 모습.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월정리 바닷가까지 약 14㎞를 이동하면서 형성한 용암동굴군을 말한다. 2024.8.19 [제주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미공개 세계자연유산 용암동굴 신비 사진으로…화보 발간

거문오름용암동굴계 8개 동굴 화보 '어둠에서 빛으로…14㎞의 여정'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만장굴, 용천동굴 등 용암동굴을 주제로 한 화보가 발간됐다.

19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를 화보로 담은 '어둠에서 빛으로…14㎞의 여정'이 최근 나왔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2007년 한라산과 성산일출봉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지질학적 보물이다.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월정리 바닷가까지 약 14㎞를 이동하면서 형성한 용암동굴군 등이다.

용암동굴군에는 벵뒤굴, 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굴, 김녕굴, 만장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등 8개 동굴이 포함됐다.

이번 화보에는 8개 동굴에서 촬영한 130여점의 사진이 수록됐다.

동굴 입구와 내부 경관, 미지형(작은 기복이 있는 지형), 동굴 생성물, 동굴 내부 생태계 등이 생생하게 담겼다.

또 제주도 용암동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거문오름용암동굴계에 대한 설명과 용암동굴의 형성 과정, 동굴 내부의 대표적인 생성물과 구조에 대한 해설을 수록했다.

비공개로 볼 수 없는 용암 동굴을 화보를 통해 간접적으로나 체험할 수 있다.

강석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제주도 용암동굴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깨닫고 세계자연유산의 지정한 가치를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