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조사하고 3D 기술로 메우고…과학기술로 되살린 고려 약통

Heritage / 김예나 / 2024-09-26 09:37:11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물 '청자 상약국명 합' 보존 처리 완료
▲ 보물 청자 상감 '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대전=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지난해 9월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에서 열린 '생생 보존 처리 데이'에서 공개된 청자 상감 '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모습. 2024.9.26 yes@yna.co.kr

▲ 3차원(3D) 전자화 및 인쇄 (스캔 및 프린팅) 모식도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보존 처리가 완료된 유물 모습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X선 조사하고 3D 기술로 메우고…과학기술로 되살린 고려 약통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물 '청자 상약국명 합' 보존 처리 완료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900여 년의 세월을 거치며 일부 갈라지고 색이 변했던 고려시대 청자가 과학 기술로 제 모습을 찾았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청자 상감 상약국(尙藥局)명 음각운룡문 합'의 보존 처리와 복원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1978년 보물로 지정된 이 유물은 뚜껑이 달린 원통 형태의 청자다.

고려시대에 의약을 담당하던 관청이었던 '상약국'이라는 글자가 몸체 윗부분과 뚜껑 아랫부분에 흰색으로 새겨져 있는데, 이런 종류는 매우 드문 것으로 평가된다.

상약국의 기능과 역할을 볼 때 과거 약을 담는 용도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은 "상약국은 고려 목종(재위 997∼1009)부터 충선왕(재위 1298·1308∼1313) 때까지 있었는데, 이 합은 1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고려청자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지만,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곳곳에서는 손상이 확인됐다.

특히 과거 수리한 뚜껑 부분에서는 변색, 균열, 들뜸 현상이 확인돼 2022년 정기 조사에서 '보존 처리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지난해 5월부터 자외선(UV) 조사, X선 투과 조사 등을 거쳐 과거 수리된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사용된 재료를 파악했다.

센터 관계자는 "수리한 부분 경계면에는 일본에서 유래된 수리 기법인 '킨츠기' 기법이 적용돼 있었는데 손상된 수리 재료 등을 원형에 손상이 없도록 모두 제거했다"고 말했다.

센터는 또 3차원(3D) 스캔 및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결실된 부분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

보존 처리를 마친 유물은 10월 초에 유물을 관리해온 한독의약박물관으로 옮겨 추후 전시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