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반려견과 함께 제주도로 (서울=연합뉴스) 지난 5월 19일 김포국제공항에서 반려견과 보호자들이 반려동물 여행플랫폼 '반려생활'에서 출시한 '댕댕이 제주 전세기'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 |
| ▲ 혼저옵서개 [제주관광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반려동물 인구 1천500만 시대 제주 관광업계 '잰걸음'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인구 1천500만 시대에 맞춰 제주지역 관광업계가 반려동물 친화 관광지로 거듭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주신화월드는 최근 제주기반 펫 바이오기업 벨아벨팜과 반려동물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제주신화월드는 업무협약을 통해 제주도 내 펫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 반려견 동반 여행객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발굴·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제주신화월드는 지난 10월 반려견 동반 투숙 전용 객실을 오픈, 제주 청정 원료를 활용한 벨아벨팜의 프리미엄 간식과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입장권이 포함된 '디어 마이 펫밀리' 패키지를 출시해 펫팸족(Pet+Family)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앞서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반려동물 동반 가능 관광인프라 조사를 통해 총 307곳의 정보를 소개하는 '혼저옵서개'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최근 전자책(E-Book)을 발간했다.
또 제주지역 마을 조사를 통해 주민들이 직접 선정한 '반려견 동반 가능한 마을 카페 5선'을 선정, 온라인 홍보 채널을 통해 선보였다.
제주도는 지난 10월에는 처음으로 반려동물을 위한 산업박람회도 개최했다.
한국관광공사는 지난 3월 반려동물 여행플랫폼 반려생활·소형항공사 하이에어와 함께 '제주도 반려동물 동반 전용 전세기'(댕댕이 제주 전세기) 상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국내 항공사의 국내선 누적 반려동물 수송량을 보면 지난해 12만4천562마리로,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국내선과 국제선을 합친 6만7천마리보다 2배 이상 급증했다.
올해 1∼3분기 국내선 누적 반려동물 수송량은 총 8만7천624마리에 달하는 등 반려동물을 동반한 여행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제주관광공사는 지난달 반려동물과의 제주 여행 계획이 있는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반려동물 동반 제주여행 잠재 수요 조사'를 통해 반려인들의 제주여행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으로 교통편과 동반 입장 업소 확대 등을 제시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가요소식] 재주소년 콘서트 '예쁜 노래를 불러보자'](https://korean-vibe.com/news/data/20251113/yna1065624915925440_51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