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주제작 프로그램 저작권 70% 이상 방송사가 소유"

General / 이은정 / 2021-12-29 17:12:37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콘진원 '2021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실태 보고서'
▲ '2021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실태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 '2021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실태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외주제작 프로그램 저작권 70% 이상 방송사가 소유"

콘진원 '2021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실태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프로그램 외주 제작 시 발생하는 권리 소유와 관련해 방송사와 제작사 간 불균등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9일 발표한 '2021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실태 보고서-제작사 중심'에 따르면 제작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방송권·전송권·복제권·배포권)이 '방송사에 귀속된다'는 응답은 방송사가 74.1%, 제작사가 74.5%로 조사됐다.

또 '제작사에 귀속된다'는 응답은 방송사가 0%, 제작사가 8.8%에 불과했으며 '방송사와 제작사가 공유한다'는 응답은 방송사가 25.9%, 제작사가 16.7%에 그쳤다.

방송사와 제작사는 주요 계약 내용을 작성할 때 상호합의 수준을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에서도 인식 차를 보였다.

저작재산권 등 프로그램 권리 배분과 관련한 양측의 상호합의 정도에 대해 방송사는 4.7점으로 합의가 잘 이뤄졌다고 한 반면, 제작사는 3.0점으로 방송사보다 불만족스럽단 평가를 내놨다.

수익 배분 비율을 정할 때 상호합의 정도 역시 방송사는 4.7점, 제작사는 3.1점으로 두 거래 주체 간 온도차가 있었다.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시 서면 계약을 활용한다고 답한 제작사는 전년도보다 0.7%p 상승한 99.4%였다. 드라마 부문은 100%, 교양·예능 부문은 89.2% 수준이었다.

그러나 제작사의 표준계약서 활용 비율은 전년 대비 2.1%p 감소한 89.8%로 조사됐다.

또한 지상파 방송사나 종편PP(program provider)와 거래한 제작사는 각각 100%·95.4%가, 일반PP와 거래한 제작사는 82.9%가 표준계약서를 활용한다고 답해 방송 사업자별로도 차이가 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경험이 있는 방송영상독립제작사(제작사) 171개사, 방송사업자(이하 방송사) 33개사를 대상으로 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