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조성한 계획도시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

Heritage / 이정훈 / 2021-08-02 14:20:20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육각집 등 1910∼1960년대 건물 11채는 문화재 등록
▲ 창원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등록문화재 된다 (서울=연합뉴스) 문화재청이 경남 창원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등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진해 육각집(왼쪽)과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021.8.2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등록대상 문화재 [문화재청 제공]

▲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등록대상 문화재 [문화재청 제공]

일제가 조성한 계획도시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

육각집 등 1910∼1960년대 건물 11채는 문화재 등록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2일 문화재청이 경남 창원시 진해구 시가지 일부를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해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면서 유산 보존, 구도심 활성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문화재청과 창원시는 종합정비계획을 세워 내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최대 500억원을 단계별로 투자해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보전과 정비에 나선다.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일부 지역은 정부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구역(충무지구)과 겹친다.

창원시는 이번 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과 2018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진해 구도심을 활성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화재청이 진해구 화천동·창선동 일대 7만1천㎡를 통째로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할 정도로 도심 전체가 박물관이자 '타임캡슐'이다.

진해는 1910년대 일제강점기 군사 목적으로 도시가 만들어졌다.

일본은 바다에서 적이 침입하기 어려운 요새 지형을 갖춘 진해에 해군기지를 건설했다.

일본 해군에 이어 해방 후 우리나라 해군이 진해에 주둔했다.

시가지 상당수가 군사보호구역으로 묶여 있어 도심 발전이 더뎠다.

각종 규제가 있는 군사도시라는 특성으로 오래된 건물들이 많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문화재청은 해당 지역이 19세기 중반 서구 도시경관 개념을 적용했고, 중원광장을 중심으로 바큇살처럼 도로가 퍼져나가는 방사상 거리를 비롯해 오수와 빗물을 운반하는 배수관로인 하수관거·여좌천 등기반시설이 잘 남아 있는 점을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근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건축사, 생활사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건물 11개는 별도로 문화재로 등록한다.

옛 태백여인숙(1963년 건립), 보태가(1945년 건립), 화천동 근대상가주택(1938년 건립), 송학동 근대상가주택(1913년 건립), 흑백다방(1913년 건립), 일광세탁(1957년 건립), 육각집(1913년 건립), 창선동 근대상가주택(1913년 건립), 중앙동 근대상가주택(1962년 건립), 황해당인판사(1913년 건립)가 등록문화재가 된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