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무인도서 둥지 1천981개 관찰돼
 |
| ▲ 새끼에게 먹이 주는 저어새 [국립생태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저어새 유조(어린 새) [국립생태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저어새 집단번식지 둥지터 전경 [국립생태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멸종위기종 저어새 국내 번식 개체군 7% 늘었다
서해 무인도서 둥지 1천981개 관찰돼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멸종위기종 저어새 가운데 한국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생태원은 인천저어새공존협의체와 함께 지난 3∼10월 서해안 무인도 24곳의 저어새 번식 개체군을 전수조사한 결과, 둥지 1천981개를 관찰했다고 21일 밝혔다.
작년(1천845개)보다 7.4% 늘어난 규모다.
국립생태원과 인천저어새공존협의체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저어새의 번식 개체군을 늘리기 위해 지난 3∼4월 인천 일대의 무인도 6곳에 둥지를 틀 수 있는 공간을 341개소 마련했다.
이곳에 둥지를 튼 저어새 가운데 115쌍은 알을 낳는 데 성공했다.
이외에도 연안 번식지에서 구하기 힘든 나뭇가지 등 둥지 재료를 공급하고, 갯벌 매립으로 수리부엉이와 너구리 등 육상 포식자에게 노출된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저어새는 주걱처럼 생긴 검은 부리로 물속을 휘휘 저어가며 먹이를 찾는 새다.
몸은 희고 부리와 다리는 검다.
번식기에는 누런 댕기깃이 꽃핀다.
주로 3∼7월 번식하며 한배에 알을 3개 정도 낳는다.
전 세계에 6천162마리 남은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 동식물 목록인 적색목록에 '위기(EN·endangered)' 등급으로 지정된 국제보호종이다.
갯벌 매립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저어새를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