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내 과자시장 규모 4.5% 성장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지난 6월 27일 서울 한 대형마트 과자 판매대. 2021.6.27 mjkang@yna.co.kr |
![]() |
| ▲ 연령대별 과자 관심제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올해 국내 과자시장 4.5% 성장…봉지과자가 비스킷보다 인기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올해 국내 과자 시장이 작년보다 4.5% 성장했으며, 소비자들은 짠 봉지과자를 단 비스킷류보다 더 많이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와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올해 국내 과자 시장 규모는 3조6천997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지난해보다 4.5% 커진 수준이다.
2019년 국내 과자 시장규모는 직전 해보다 소폭 작아졌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한 지난해부터 2년 연속 성장했다.
유로모니터는 이에 대해 "코로나19 여파로 한국인들이 그 어느 때보다 집에서 과자를 더 많이 먹는다"면서 "과자를 좋아하는 경우가 드문 고령층도 즐겨 먹게 됐다"고 분석했다.
과자 종류별로 보면 봉지과자 위주의 짠맛스낵 매출액이 1조6천742억원으로 전체의 45.3%를 차지해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단맛 비스킷(32.4%), 견과믹스(9.8%), 팝콘(3.6%), 스낵바(3.3%) 등의 순이었다.
짠맛스낵 중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은 매출액의 7.4%를 차지한 새우깡이다. 이어 꼬깔콘(6.3%), 포카칩(6.0%), 이마트 PB스낵(3.9%), 프링글스(3.7%) 등의 순으로 비중이 컸다.
과자 유통채널 중에선 대형마트의 비중(48.8%)이 제일 컸지만, 지난해(49.7%)보다는 줄었다.
반면 온라인(6.2%) 유통 비중은 온라인 전용 세트상품의 인기와 모바일 선물 쿠폰 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더 커졌다.
올해 9월 기준으로 과자류 수출액은 약 4억3천370만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5.3% 늘어났다.
대상국 중 수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태국으로, 작년보다 약 2배 (93%) 늘어났다. 이어 몽골(91%), 인도네시아(60%), 프랑스(52%), 싱가포르(49%) 등의 순이었다.
네이버 데이터랩 쇼핑인사이트 검색순위를 토대로 연령대별 과자 관심도를 파악한 결과 10대는 일본 과자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된 과자에 관심이 컸다.
20대는 칩 제품과 단백질, 저칼로리 등 다이어트 과자를 선호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가요소식] 세븐틴 에스쿱스X민규, 국내외 5개 도시 공연](https://korean-vibe.com/news/data/20251128/yna1065624915940185_56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