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대비 사교육도 온라인 의존…"EBS 선호도 4~5위"

Life Style / 홍유담 / 2021-01-11 17:08:33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소비자교육중앙회, 학부모 설문조사…온라인 강좌 42%·학원 34.5%
▲ 수능 대비 사교육 유형 [소비자교육중앙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사교육비 감소를 위한 추진 과제 [소비자교육중앙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능 대비 사교육도 온라인 의존…"EBS 선호도 4~5위"

소비자교육중앙회, 학부모 설문조사…온라인 강좌 42%·학원 34.5%

(서울=연합뉴스) 홍유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수업이 확대된 가운데 수능 대비 사교육을 온라인으로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타났다.

11일 사단법인 소비자교육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18일~9월 30일 온·오프라인 사교육을 경험한 자녀가 있는 학부모 1천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2%는 수능에 대비한 사교육을 온라인(인터넷 및 통신 강좌)으로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학원 교육은 34.5%, 개인 교습은 13.1%였다.

수능 대비 온라인 사교육의 경우 응답자의 62.4%는 단일 강좌가 아닌 복수 강좌 패키지를 활용했고, 평균 강좌 수는 4.7개였다.

복수 강좌 패키지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48.6%로 가장 많았고, 단일 강좌보다 가격이 훨씬 저렴하다는 답변도 39.1%를 차지했다.

수능 대비 온라인 사교육 시장에서 메가스터디, 대성마이맥, 이투스 등 3곳의 점유율이 86%에 달했다.

소비자교육중앙회는 "EBS는 고등학교 교과 과정이나 수능 대비 유형의 온라인 업체 가운데 선호도는 4~5위이고, 점유율은 5~6%로 나타났다"면서 "EBS 활용도를 높일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온라인 사교육을 활용하는 이유로 '이용이 편리해서'가 20.8%로 가장 많이 꼽혔고, '자녀가 선호해서'도 20.6%를 차지했다.

온라인 사교육이 사교육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52%였고, 지속해서 이용하겠다는 답변은 64.9%였다. 다만 온라인 사교육비가 비싼 편이라는 응답도 41.1%에 달했다.

사교육비 감소를 위해서는 공교육 중심 입시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21.4%로 가장 많았다. 다양한 온라인 공교육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는 응답은 10.8%였다.

소비자교육중앙회는 "공교육도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수준별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정착시켜 사교육비 절감에 구조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