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신문협회 [한국신문협회 제공] |
![]() |
|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제공] |

[문화소식]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연구위 세미나
'미디어 공공성 제고 정책 모색' 세미나·청소년 언론중재스쿨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연구위 세미나 = 이른바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설립 방안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열린다.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연구위원회는 지금까지 연구한 설립안 초안을 놓고 24일 오후 2시 온라인 화상 세미나를 개최한다. 연구위는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여기자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등 언론단체 의뢰로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설립 방안을 연구해왔다.
연구위 간사인 심석태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 교수의 진행으로 연구위원장인 강형철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가 인사말을 하고, 연구위원인 김민정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가 연구 초안을 발표한다.
이어 연구 의뢰 단체 대표들의 의견 제시 및 질의응답, 기자 등 일반 참여자들의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연구위는 이번 세미나 내용을 반영해 최종 설립안에 대한 최종안을 31일까지 언론단체에 제출할 예정이다.
▲ '미디어 공공성 제고 위한 정책 모색' 세미나 = 미디어의 산업성과 공공성을 조화롭게 포괄하는 거버넌스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언론학회와 방송통신위원회는 '미디어 공공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미디어 정책 추진 체계의 모색' 세미나를 23일 오후 2시 30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서울외신기자클럽에서 개최한다.
김경희 한국언론학회장이 개회사를, 김창룡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이 축사를 하며 강형철 숙명여대 교수가 사회를 맡는다.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교수가 '통합적 미디어 정책 체계 도입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홍원식 동덕여대 교수가 '공공성 포럼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발제한다.
종합 토론에는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장, 유홍식 중앙대 교수, 이상원 경희대 교수, 이종관 법무법인 세종 전문수석위원, 조성동 한국방송협회 정책연구위원이 참여한다.
한국언론학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되며 세미나 영상은 학회 회원들에게 2주간 공개될 예정이다.
▲ 언론중재위, 청소년 언론중재스쿨 = 언론중재위원회는 다음 달 6~25일 청소년 언론중재스쿨을 운영한다.
언론중재스쿨은 청소년들이 언론의 자유와 인격권 보호에 대한 법적 소양을 쌓고 관련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온라인 회상회의 시스템 줌을 이용한 실시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등학교 4~6학년, 중·고등학생 및 동일 연령 청소년이면 누구나 23일 오전 9시부터 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언론중재위 교육팀(02-397-3065)에 문의하면 된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