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옛 청주시청 본관동 건물 철거 (청주=연합뉴스) 천경환 기자 = 10일 오후 충북 청주시청 신청사 건립부지에서 건설 근로자들이 옛 시청 본관동 건물을 철거하고 있다. 2023.3.10 kw@yna.co.kr |
![]() |
| ▲ 시민단체 청주시청 본관 철거 철야농성 종료 [독자 제공] |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 시작…철야농성 시민단체 철수(종합)
(청주=연합뉴스) 천경환 기자 = 충북 청주시가 새 청사를 짓기 위해 10일 옛 시청 건물 철거에 나섰다.
시는 이날 오후 1시 30분께부터 인력과 장비를 투입 본관동 난간 절단 등 건물 해체작업에 돌입했다.
옛 의회 동을 포함해 모든 철거는 4월 이전 마무리될 전망이다.
후관동은 예산을 편성해 올해 하반기 철거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역사·건축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청주시청사 구 본관동 논의 협의체' 제안에 따라 시는 본관 1층 로비, 와플 슬라브 구조(기둥·보) 등을 그대로 이전 유지한 후 향후 재설계 공모 때 구체적인 보존 방법 등을 세울 예정이다.
본관동 철거는 지난 7일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시민단체 등의 반발로 무산됐다.
충북 시민사회단체연대회는 이날 신청사 건립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며 본관동 인근에 텐트를 치고 철야농성에 들어갔다.
철거 과정을 시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사흘간 철야농성을 한 이 단체는 10일 오전 안전 상의 이유로 시위를 마무리했다.
이 단체는 농성 해제 기자회견을 통해 "종전의 설계안이 폐기돼 100억 원 가까운 세금이 낭비됐는데, 충분한 설명 없이 기습 철거를 기획한 청주시를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범석 시장 면담을 요청했지만 바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며 "활동가 안전 등을 고려해 농성은 종료하지만, 시의 일방 행정에 대한 감시와 견제는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논란이 된 본관동은 1965년 3층으로 건립된 뒤 1983년 4층으로 증축됐다.
근현대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공공건축물로 분류돼 문화재청으로부터 문화재 등록 권고를 받기도 했으며, 민선 7기 한범덕 전 시장 체제에서 존치 결정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범석 시장 취임 뒤 꾸려진 신청사 건립 전담조직(TF)은 안전 등급 미흡(D등급), 콘크리트 탄산화 E등급, 내진설계 미반영, 유지관리비 과다, 일본식 건축양식 답습 논란 등을 사유로 본관동 철거를 결정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