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소식] 경복궁 수정전서 '관현맹인전통예술단' 공연

Contribution / 박상현 / 2021-11-08 16:09:17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국립문화재연구소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학술세미나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포럼·예스24 '올해의 책' 투표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예스24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소식] 경복궁 수정전서 '관현맹인전통예술단' 공연

국립문화재연구소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학술세미나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포럼·예스24 '올해의 책' 투표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 경복궁 수정전서 '관현맹인전통예술단' 공연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회와 함께 10일 경복궁 수정전에서 '관현맹인전통예술단' 기획 공연 '세종의 뜰에서 놀다'를 진행한다.

실로암복지회가 2011년 창단한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이 세종이 지었다고 알려진 궁중음악 '여민락'(與民樂)을 비롯해 판소리 심청가 중 심봉사가 눈 뜨는 대목, 시조 '청산리 벽계수야', 아리랑 등을 들려준다.

공연 영상은 19일 문화재청과 관현맹인전통예술단 유튜브 계정을 통해 공개된다.

관현맹인(管絃盲人)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현악기와 관악기를 연주한 맹인 악사를 뜻한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학술세미나 = 국립문화재연구소는 9일 대전 문화재분석정보센터에서 '문화재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의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 학술 세미나를 연다.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은 방사성탄소 농도를 통해 뼈, 목재, 섬유 등 유기물의 연대를 가늠하는 방법이다. 연구소에 있는 가속질량분석기를 활용하면 아주 적은 양의 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하다.

연구자들은 '한국 고고학을 위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법의 인식 제고', '문화재 방사성탄소연대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 '문화재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연구를 향한 출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발표한다.

세미나는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 계정을 통해 볼 수 있다.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미래발전포럼 = 국립중앙박물관은 단계적 일상 회복을 맞아 어린이박물관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9일 어린이박물관 미래발전포럼을 개최한다.

주제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 어디에 그리고 어떻게'이다. 연구자들이 '어린이, 박물관 그리고 교육', '국립박물관 어린이 공간의 현재와 미래', '어린이가 어린이 되게 하는 건축'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 예스24 '올해의 책' 투표 = 온라인 서점 예스24는 누리집(yes24.com)에서 회원을 대상으로 '2021 올해의 책' 투표를 29일까지 진행한다.

후보에 오른 100권 가운데 3∼6권을 골라 투표하면 된다. 결과는 30일 발표된다. 지난해는 에세이 '나에게 시간을 주기로 했다'가 1위였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