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코로나19로 주점보단 '홈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외출과 모임이 줄어들면서 국내 맥주 시장에서 이른바 '홈술'로 대표되는 가정용 시장이 주점 등 유흥시장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26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가 각각 1, 2위를 차지한 국내 맥주 시장에서 올해 가정용 맥주 수요가 유흥시장용 수요를 앞질렀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주류 판매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
코로나19가 불러온 새 음주 트렌드 '홈술+혼술'
"집에서 마신다" 92.9%, "혼자서 마신다" 81.9%
(서울=연합뉴스) 신창용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집콕생활'이 늘다 보니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혼술'(혼자 마시는 술)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11월 4∼11일 전국 만 15세 이상 국민 중 최근 6개월 이내 음주 경험이 있는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5.7%가 코로나19 이후 음주 횟수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이 중 매일 마시는 경우는 2.0%→1.2%, 주 5∼6회는 3.8%→2.7%, 주 3∼4회는 12.9%→6.4%, 주 2회는 19.7%→15.5%로 각각 줄었다.
응답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6.2%는 코로나19로 술 마시는 장소에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다.
이 중에는 음주 장소를 자신의 집으로 바꾼 사람들이 92.9%(중복 응답)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지인의 집(62.9%), 식당·카페(35.8%)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주점·호프집(82.4%), 식당·카페(78.9%) 등 외부 영업 시설이 대부분이었다.
응답자의 20.3%는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할 때 같이 술을 마시는 상대에도 변화가 있었다고 했다.
바뀐 음주 상대는 '혼자'(81.9%)가 가장 많았고, 가족·배우자(76.7%)가 그다음이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술자리 상대로 친구·선후배(90.0%)가 가장 인기가 많았고, 이어 직장 동료(72.8%), 가족·배우자(54.3%) 순이었다.
코로나19로 음주 횟수는 줄고, 음주 장소가 집으로, 음주 상대는 혼자 또는 가족으로 바뀌는 등 음주 트렌드가 확 달라진 셈이다.
술을 마시는 상황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친목'(74.9%) 자리에서 술을 마시는 경우가 가장 흔했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혼자'(70.0%) 또는 'TV 시청을 할 때'(43.0%) 술을 마신다는 사람이 부쩍 늘었다.
과음·만취·폭음과 같이 건강에 해로운 수준의 고위험 음주 경험 비율은 63.5%로, 2017년(57.3%) 조사 때와 비교해 상승했다.
특히 10대의 경우 2017년 39.8%에서 올해에는 66.5%로 대폭 상승해 관리와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약처는 "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는 경우 고위험 음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음주 빈도와 음주량을 고려해 건전한 음주 습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가요소식] 재즈 보컬 김주환의 시나트라 명곡 콘서트](https://korean-vibe.com/news/data/20251110/yna1065624915921363_976.jpg)

![[가요소식] 강성희 새 싱글 '그런데 말야' 발표](https://korean-vibe.com/news/data/20251110/yna1065624915921277_828_thum.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