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인 가구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

Life Style / 김경태 / 2022-06-27 09:22:13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기초수급자 가구 68% '1인 가구'…연령대는 30대가 19% 차지
▲ 1인 가구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경기도 "1인 가구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

기초수급자 가구 68% '1인 가구'…연령대는 30대가 19% 차지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 1인 가구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대상 가구의 셋 중 둘은 1인 가구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20% 정도는 연령대가 30대이고, 생활비 중 주거비를 30% 정도로 가장 많이 지출했다.

경기도는 정부 통계를 재분석해 이런 내용을 담은 '2022 경기도 1인 가구 통계'를 27일 발표했다.

2020년 기준 경기도 1인 가구는 약 140만 가구로, 국내 전체(664만 가구)의 21.2%를 차지했다.

도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16년 23.8%에서 2018년 25.2%, 2020년 27.6%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19.4%), 50대(17.0%), 20대(16.9%), 40대(16.3%) 등의 순이다.

지난해 기준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 100만원 미만 36.6% ▲ 100만~200만 원 23.9% ▲ 200만~300만원 20.7% ▲ 300만~400만원 10.7% ▲ 400만~500만원 4.3% ▲ 500만원 이상 3.7% 등으로, 200만원 미만이 60.5%를 차지했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 100만원 미만 15.0% ▲ 100만~200만원 16.0%로, 200만원 미만이 31.0%인 것과 비교된다.

2020년 기준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 중 1인 가구는 68.1%를 차지했다.

1인 가구는 생활비를 주거비(30.5%), 식료품비(25.2%), 보건·의료비(20.7%) 등의 순으로 많이 지출했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생활비 지출 비중이 식료품비(25.4%), 주거비(23.9%), 보건·의료비(17.6%) 등의 순인 것을 고려하면 1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주거비와 보건·의료비 부담이 큰 셈이다.

2020년 기준 1인 가구의 주거 면적은 20㎡ 이하 5.4%, 20~40㎡ 26.3%, 40~60㎡ 이하 35.6%, 60~85㎡ 22.8% 등의 순이었다. 31.7%가 40㎡(12평) 이하였다.

1인 가구원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48.1%가 '좋다', 23.3%가 '나쁘다'고 평가했다.

이 역시 경기도 전체 가구의 응답(좋다 58.6%, 나쁘다 11.6%)과 비교해 '좋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번 통계는 통계청의 인구총조사(2020)와 주택총조사(2020),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2020), 보건복지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2020), 경기도의 사회조사(2021) 등을 재분석한 것이다.

지주연 도 여성가족국장은 "1인 가구의 분포와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이번에 처음으로 도내 1인 가구 통계를 재정리해 분석했다"며 "앞으로 1인 가구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