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옛 대전부청사의 현재 모습 [네이버 거리뷰 캡처] |
![]() |
| ▲ 옛 대전부청사의 1950년대 모습 [옛 대전부청사 보존 및 활용방안 용역 자료] |
"철거 위기 옛 대전부청사 문화재적 가치 커…보존방안 찾아야"
대전시 연구용역 결과…"원형 보존 위해서는 공공매입이 적절"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자칫 철거될 위기에 놓인 옛 대전부청사의 문화재적 가치가 커 적절한 보존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연구용역 결과가 나왔다.
대전시 중구 은행동에 있는 이 건물은 대전이 1935년 읍에서 부로 승격한 뒤 1938년 건립한 청사다. 1959년 대전시청(1949년 대전부에서 대전시로 변경)이 대흥동으로 이전할 때까지 1층은 부(시)청, 2층은 상공회의소, 3층은 공회당 등으로 사용됐다.
25일 대전시가 추진한 '옛 대전부청사 보존 및 활용방안'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옛 대전부청사가 지역의 정체성과 특색을 내재하고 있으며, 대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표 건축물로서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용역을 수행한 목원대 산학협력단은 옛 대전부청사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직후 재건기를 거쳐 산업화 시기에 이르는 대전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고, 건축 자산 관점에서도 경관·예술·사회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건축 디자인 면에서 대형 커튼월 공법과 수직 창을 사용해 모더니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데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높은 층고, 실내 마감 등에서 당시의 건축적 특징이 집약된 건물로 희소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분별한 재개발·재건축으로 변형된 중구·동구 원도심 일대에서 근현대 도시로서의 정체성과 심미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건축 유산이라는 것이다.
목원대 산학협력단 이상희 교수는 "1990년대 외부를 새로 단장하면서 겉에서 보기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내부에는 건립 당시 건축 형태와 요소들이 잘 남아 있다"며 "역사적으로 충분히 의미 있는 건물"이라고 말했다.
용역 결과 보고서에는 원형 보존을 위해 대전시가 매입해 문화재로 등록한 뒤 제2시립미술관, 대전문학관, 서예진흥원, 관광공사 청사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도 담겼다.
완전 매입이 어려운 경우 건물주와 협의해 적정한 보상을 제공하며 상징성이 큰 곳을 중심으로 부분 보존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이상희 교수는 "매입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겠지만, 문화재를 경제적 가치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대전시가 정책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연구용역 결과를 검토해 조만간 옛 대전부청사 매입 여부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한편 옛 대전부청사는 2020년 공매절차를 통해 주거용 건물 개발·공급업체에 매각됐으며, 현재 개발과 보존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