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활용' 혼선 양상에 우려…"실태조사 후 신중히 결정해야"

Heritage / 김예나 / 2022-07-26 17:43:24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문화재위 위원장단 긴급회의…문화재청 노조 '반대'-미술계 '찬성'
'국무총리 산하 TF' 제안도…문체부 "혼선 없고 세부 계획 마련할 것"
▲ 청와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 박보균 문체부 장관, 대통령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대통령 업무보고를 하루 앞두고 사전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2.7.20 utzza@yna.co.kr

▲ [그래픽] 청와대 복합문화공간 조성 계획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 업무보고에서 청와대 활용 청사진 등을 담은 5대 핵심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현재 문화재청이 임시 관리하는 청와대를 문화예술, 자연, 역사를 품은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청와대, 한여름 밤의 산책' 언론 공개 행사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19일 오후 서울 청와대에서 열린 '청와대, 한여름 밤의 산책' 언론 공개 행사 참가자들이 본관 무궁화실에서 역대 영부인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과 한국문화재재단은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청와대 야간 개방 프로그램인 '청와대, 한여름 밤의 산책'을 운영한다. 2022.7.19 nowwego@yna.co.kr

▲ 영빈관 관람하는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1일 오전 청와대를 찾은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이 영빈관을 관람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날 그동안 문화유산을 누릴 기회가 적은 장애인, 어르신, 다문화 가정, 보호아동 등 116명을 초청해 청와대 나들이를 진행했다. 2022.6.21 superdoo82@yna.co.kr

'靑 활용' 혼선 양상에 우려…"실태조사 후 신중히 결정해야"

문화재위 위원장단 긴급회의…문화재청 노조 '반대'-미술계 '찬성'

'국무총리 산하 TF' 제안도…문체부 "혼선 없고 세부 계획 마련할 것"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청와대 활용 방안을 공개하자 각계에서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문체부가 청와대를 미술품 전시, 공연 등을 중심으로 한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뒤 학계는 물론, 문화재계와 미술계를 넘어 정치권에서도 엇갈린 견해가 나오고 있다.

업무 보고 당시 윤석열 대통령도 청와대를 국민의 복합예술공간으로 기획해달라고 직접 지시했으나, 정부 안에서조차 '엇박자'가 있다는 지적이 일면서 혼선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 "원형 보존하면서 문화예술공간 조성"…찬반 갈리며 의견 분분

문체부가 지난 21일 공개한 청와대 활용방안은 본관과 관저 일부 공간, 영빈관 등을 문화예술 전시장으로 활용하고, 대통령 역사 문화 공간과 수목원, 조각공원 등을 조성한다는 게 골자다.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을 참고해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현재 청와대 관리 업무를 맡은 문화재청 노조는 반대 뜻을 밝혔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 문화재청지부는 25일 논평에서 "청와대를 거대한 미술관으로 재탄생시켜 베르사유 궁전처럼 꾸민다는 문체부 장관의 업무보고에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문체부 장관의 업무보고는 청와대의 역사성과 개방의 민주성을 도외시하고 거대하고 화려한 궁전으로 되돌리는 퇴행이 아닌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문체부 계획이 발표된 이후 문화재청은 정부안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내부 구성원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작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미술계를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계 일부에서는 정부 방침을 지지했다.

한국미술협회와 한국전업작가협회, 한국서예협회 등 54개 문화예술단체는 "청와대를 시각문화 중심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정부 결정을 환영한다"는 성명을 냈다.

이들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 환골탈태한다는 점에서 우리 민족의 문화예술에 대한 사랑과 이해의 깊이를 더하며 이를 드러내는 일일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 문화재위 "역사성 보존할 문화재 지정 방안 적극 모색"

문화재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문화재위원회도 급히 모였다.

전영우 문화재위원장과 산하 분과 위원장들은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회의를 열고 청와대 활용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회의는 전 위원장의 요청으로 이뤄졌으며, 분과위원장이 모두 참석하지는 않았다.

회의에서는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나 역사성을 고려한 조사·연구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활용 방안이 나온 데 우려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 위원장은 "문화유산의 가치를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 청와대 구역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보존할 수 있는 문화재 지정 방안을 분과위원회별로 적극적으로 모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필요한 경우 합동 분과를 구성해 진행할 계획"이라면서도 구체적 방안에는 말을 아꼈다.

문화재청의 비상근 자문기구인 위원회는 유·무형 문화재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문화재위원회는 국가지정문화재의 지정과 해제, 등록문화재의 등록과 해제, 문화재 현상 변경과 역사문화환경 보호, 매장문화재 발굴, 세계유산 등재 후보 선정 등 안건을 조사·심의한다.

일각에서는 '문화재 지정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청와대를 국가지정문화재, 즉 사적으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힘을 얻는 게 아니냐는 견해도 조심스레 나온다.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은 절, 성, 궁궐터나 옛 무덤이 지정 대상이다. 청와대 남쪽에 인접한 경복궁이 사적으로 지정돼 있는데, 보통 등록문화재보다 보존 규정이 엄격하고 활용 절차가 까다롭다.

◇ 혼선 지적에 정치권서도 우려…"차분한 조사 거쳐 신중히 결정해야"

일각에서는 대통령실 산하에 마련된 '청와대 관리·활용 자문단'의 역할과 활동 계획이 문체부와 일부 겹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지난 18일 청와대와 주변 지역을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하기 위한 자문단 구성을 발표했는데, 사흘 뒤인 21일 문체부가 활용에 관한 '청사진'을 내놓으면서 정부 안에서 의견 조율이 제대로 되고 있느냐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여당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26일 원내 대책회의에서 "국무총리 산하에 태스크포스(TF) 팀을 가지고 시한을 갖고 좀 더 면밀하게 활용 방안을 마련해 국민들께 발표하는 것이 옳은 길"이라는 의견을 냈다.

이 의원은 "청와대 개방이라는 국민적 지지와 관심도가 높은 사안을 두고 정부 내 혼선과 소통 부재 상황이 노출돼 안타깝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청와대 활용 계획을 두고 각계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분출되자 주무부처인 문체부는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문체부는 설명자료를 내고 "정부 내 혼선은 없다"며 "'청와대의 복합문화예술공간화' 방안은 문체부가 주도하면서 문화재청,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실과 협의해 추진하기로 정리된 바 있다"고 강조했다.

또 "청와대 활용 방안의 짜임새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재청, 관리비서관실과 긴밀히 협의하고 '청와대 관리·활용 자문단'이 마련하는 내용을 충분히 반영해 세부 계획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학계에서는 국민의 관심이 많고 중요한 사안인 만큼 차분하게 의견을 수렴해 신중히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건축역사학자인 안창모 경기대 교수는 "청와대는 과거 궁궐의 터였고 한국 근현대사의 복잡한 역사를 한 몸에 안은 장소지만 그동안 접근이 어려웠던 탓에 구체적인 연구나 조사가 없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이제라도 긴 호흡을 갖고 청와대가 어떤 곳인지 역사적 실태, 정체성 등을 조사·연구한 뒤 그에 따라 보존하고 활용하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사회적 공감대 형성도 필수"라고 제언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