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거치며 韓엥겔지수 G5보다 큰폭 상승…"식품물가 급등"

Life Style / 김보경 / 2023-02-16 11:00:00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한경연, 엥겔지수 국제비교…가계소비성향 약해진 탓도
▲ 코로나 거치며 韓엥겔지수 G5보다 큰폭 상승…"식품물가 급등" [연합뉴스 자료사진]

▲ 주요국 엥겔지수 상승폭 [한경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주요국 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 [한경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소득분위별 식료품비 상승률 [한경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그래픽] OECD 주요국 엥겔지수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코로나 거치며 韓엥겔지수 G5보다 큰폭 상승…"식품물가 급등"

한경연, 엥겔지수 국제비교…가계소비성향 약해진 탓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코로나 사태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올라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6일 발표한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등 주요5개국(G5)과 한국의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 직전인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G5 평균(0.9%포인트)보다 가파른 상승세다.

국가별 엥겔지수 상승 폭은 한국 1.4%포인트, 영국 1.2%포인트, 독일 1.0%포인트, 일본 0.9%포인트, 프랑스 0.8%포인트, 미국 0.4%포인트 순이었다.

한경연은 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승한 이유로 국내 식품 물가 급등을 꼽았다.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2020~2021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5.2%를 기록, G5 평균(1.7%)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한경연은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등 식량안보 수준이 낮아 코로나 같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식품 물가가 불안정해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19.4%로 G5 중 최저였다.

한국은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도 2019년 4분기 71.2%에서 2021년 4분기 67.3%로 3.9%포인트 하락했다.

한경연은 가계소비의 둔화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다고 분석했다.

가계 소비성향 약화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전체소비 중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을 늘린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식료품 소비지출은 코로나 직전이던 2019년 4분기 9.9%에서 2021년 4분기 10.7%로 0.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자동차(-0.9%포인트), 의류·신발(-0.4%포인트), 통신장비(-0.2%포인트) 등 내구재 소비는 감소했다.

식품 가격 급등은 저소득층의 식료품 지출 부담을 증가시키는 등 생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경연은 주장했다.

실제로 코로나 사태 이후 식료품비 증가에 따른 가용자금 감소율은 저소득층(5.7%)이 고소득층(1.2%)의 4.8배에 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식품 가격이 오를 경우 저소득층의 피해가 커진다"라며 "농산물 자급 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으로 식품물가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