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시장으로 변한 옛 대통령 기자회견장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31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춘추관에서 개막한 장애예술인 특별전 '국민 속으로 어울림 속으로'에서 개막식 참석자들이 작품을 관람하고 있다. 2022.8.31 utzza@yna.co.kr |
![]() |
| ▲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기본계획' 추진 전략과 정책 과제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장애예술인, 연평균 창작수입 218만원"…활동 지원계획 첫 수립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정부가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기본계획을 처음 수립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 5년간의 장애예술인 지원 정책을 담은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기본계획'(2022~2026)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20년 제정된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됐다.
문체부는 ▲장애예술인 창작 지원 강화 ▲일자리 등 자립 기반 조성 ▲문화예술 활동 접근성 확대 ▲지원정책 기반 조성 ▲예술활동 지원 전문인력 교육 지원 등 5개 전략과 10개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지난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예술인 중 62.2%가 예술을 전업으로 하지만 개인 연평균 소득은 809만 원, 창작활동 연평균 수입은 218만 원에 불과했다.
이같은 현실을 반영해 2026년까지 공모사업 지원금액을 연간 200억 원, 창작준비금 지원 인원을 연간 2천 명까지 확대한다.
서울 서대문구 구세군빌딩 아트홀을 리모델링해 내년부터 장애예술인 표준 공연장을 운영하고, 전시·창작 공간과 거주·작업공간 등을 조성한다.
공공기관, 도서관, 의료시설 등에 장애예술인 미술품 대여사업을 추진하고, 장애인문화예술원의 '이음온라인'을 확대해 유통을 위한 플랫폼도 구축한다.
영국 '언리미티드' 등 국제 장애예술인 축제 참여를 지원하고 국내외 장애예술인의 공동창작, 협업사업도 활성화 한다.
장애예술인의 자립을 강화하기 위해 공공영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민간기업 취업 및 창업도 지원한다.
기업과 공공기관의 장애예술인 정규직 채용을 연계하고, 예술활동 보조금 지급 등의 정책을 편다.
장애예술인이 기간제 근로자로 2년을 초과해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근거도 마련한다.
민간에서 장애인예술단을 설립하는 경우 예산 지원을 포함한 혜택도 확대한다.
장애예술인 친화적인 고용기준을 개발하고, 예술기업 창업 지원사업에 '장애예술인 기업' 분야를 신설해 가산점을 부여한다.
장애인 예술교육 확대, 창작·제작·유통분야 전문인력 양성 등 정책 기반도 강화한다.
장애인 예술강좌이용권을 도입해 수강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부와 협력해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문화예술특화교실'을 도입한다.
교육·기획·창작·제작·유통 분야에서 활동할 인력을 양성하고, 분야별·장애유형별 인공지능 기반 창작 도구도 개발한다.
문체부는 내년 정부 예산안에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을 활성화 하는 '함께누리 지원' 사업 예산을 261억 원으로 확대 편성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게시판] SM엔터테인먼트 '스마일 뮤직 페스티벌' 개최](https://korean-vibe.com/news/data/20251124/yna1065624915934913_179_thum.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