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33%↓…삼성 점유율은 되레 늘어"

Life Style / 김기훈 / 2023-03-03 05:51:00
  • facebook
  • twitter
  • kakao
  • naver
  • band
트렌드포스 분석…1위 삼성전자 D램 매출 25.1% 감소
▲ 삼성전자, 'LPDDR5X D램' 동작 속도 8.5Gbps 구현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최신 LPDDR5X D램으로 최고 동작 속도 8.5Gbps를 구현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LPDDR5X D램. 2022.10.18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 2022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트렌드포스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 [그래픽] 글로벌 D램 매출 현황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33%↓…삼성 점유율은 되레 늘어"

트렌드포스 분석…1위 삼성전자 D램 매출 25.1% 감소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 여파로 지난해 4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D램 매출이 전분기보다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은 전분기보다 32.5% 감소한 122억8천100만달러로 집계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4분기의 매출 감소폭(36%)에 육박한 수준이다.

트렌드포스는 수요 위축으로 인한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이 매출 급감이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4분기 DDR4와 DDR5 서버 D램 제품의 계약가격은 전분기 대비 각각 23∼28%, 30∼35% 하락했다.

업체별로 보면 업계 1위 삼성전자의 4분기 매출은 55억4천만달러로 전분기(74억달러)보다 25.1% 감소했다.

다만 삼성의 시장점유율은 40.7%에서 45.1%로 4.4%포인트 상승했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는 가장 공격적인 가격 경쟁을 펼쳤기 때문에 전반적인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출하량을 늘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2위 SK하이닉스[000660]의 4분기 매출은 전분기(52억4천200만달러)보다 35.2% 감소한 33억9천800만달러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도 3분기 28.8%에서 4분기 27.7%로 1.1%포인트 하락했다.

3위 마이크론의 4분기 매출은 28억2천900만달러로 전분기(48억900만달러)보다 41.2%나 급감했다. 시장 점유율도 26.4%에서 23.0%로 3.4%포인트 내려갔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twitter
  • kakao
  • pinterest
  • naver
  •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