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나
| 2023-05-18 22:44:23
[표]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현황
┌──────────┬─────┬────────────────────┐
│유산명│등재 일자 │유산 개요│
├──────────┼─────┼────────────────────┤
│ 훈민정음 (해례본)│1997.10.1 │- 1446년 음력 9월 간행된 한 권의 목판본 │
│││으로 세종대왕의 공포문과 집현전 학자들의│
│││ 해설 및 해례 포함.│
├──────────┼─────┼────────────────────┤
│조선왕조실록│1997.10.1 │- 조선을 개국한 태조부터 철종까지 470여 │
│││년간 왕조 역사를 담고 있는 책으로 역사와│
│││ 문화 전반을 포괄하는 매일의 기록.│
├──────────┼─────┼────────────────────┤
│승정원일기│ 2001.9.4 │- 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에서 매│
│││일 작성한 일기로 국왕의 일과와 지시, 각 │
│││부처의 보고, 국정 회의 상소 사료를 망라 │
│││함.│
├──────────┼─────┼────────────────────┤
│직지심체요절│ 2001.9.4 │-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 │
│││으로 선의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역대│
│││불조사들의 어록 중 중요한 대목을 초록한 │
│││책.│
├──────────┼─────┼────────────────────┤
│ 해인사 대장경판 및 │2007.6.14 │- 1237∼1248년 경판 8만1천여 장에 판각한│
│제경판││ 완전한 형태의 불교 경전집. 제경판은 대 │
│││장경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경판을 뜻함.│
││││
├──────────┼─────┼────────────────────┤
│조선왕조 의궤│2007.6.14 │- 조선왕조(1392∼1910년)의 왕실 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독특한 기록물로 약 │
│││4천권으로 구성.│
├──────────┼─────┼────────────────────┤
│동의보감│2009.7.31 │- 17세기 초 왕명에 따라 발간된 의학 백과│
│││사전. 동양의학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고 │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개념도 소개됨.│
├──────────┼─────┼────────────────────┤
│일성록│2011.5.25 │- 조선 정조가 쓴 일기 형식의 기록. 왕위 │
│││에 오르기 전에는 일상생활과 학문을, 이후│
│││에는 정사에 대한 내용을 적었음.│
├──────────┼─────┼────────────────────┤
│5·18 민주화운동 기 │2011.5.25 │- 한국과 동아시아 지역 민주화에서 중요한│
│록물││ 역할을 한 5·18 민주화운동(1980년 5월 1│
│││8∼27일)에 관한 문서, 사진, 영상물 등 모│
│││음.│
├──────────┼─────┼────────────────────┤
│난중일기│2013.6.18 │- 임진왜란(1592∼1598년) 중 해군 사령관 │
│││을 지낸 충무공 이순신이 군중에서 쓴 일기│
│││. 친필 본 7책으로 구성됨.│
├──────────┼─────┼────────────────────┤
│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6.18 │- 개발도상국 발전 모델로서 유엔에서 빈곤│
│││ 퇴치, 농촌 개발의 모범 사례로 인정받은 │
│││새마을운동(1970∼1979년)에 관한 기록 모 │
│││음.│
├──────────┼─────┼────────────────────┤
│한국의 유교책판│2015.10.9 │-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저작물을 간행하기 │
│││위해 판각한 718종, 6만4천여 장의 목판.│
│││유학자의 문집, 성리학 서적, 족보 등으로 │
│││구성.│
├──────────┼─────┼────────────────────┤
│KBS 특별생방송 이산 │2015.10.9 │- KBS가 1983년 453시간 45분 동안 방영한 │
│가족을 찾습니다 기록││'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생방송의 비디오 녹│
│물││화 원본 테이프, 프로듀서 업무수첩 등 기 │
│││록물.│
├──────────┼─────┼────────────────────┤
│ 조선통신사 기록물│2017.10.31│- 조선이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1607년부터│
│││ 1811년까지 12회에 걸쳐 일본에 보낸 조선│
│││통신사 관련 기록.│
├──────────┼─────┼────────────────────┤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2017.10.31│- 조선 왕실의 의례용 도장과 세자 책봉· │
│책││직위 하사 시에 대나무나 옥에 교서를 새긴│
│││ 것. 왕조의 지속성과 정통성, 신성성을 상│
│││징.│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17.10.31│-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나랏빚을 갚기 위│
│││해 진행한 국채보상운동의 발달과 전개 과 │
│││정을 적은 수기(手記), 언론 보도 등 모음.│
││││
├──────────┼─────┼────────────────────┤
│4·19혁명 기록물│2023.5.18 │- 1960년 4월 19일 한국에서 학생이 중심이│
│││ 돼 일어난 시민혁명 자료. 국가기관과 국 │
│││회·정당의 자료, 언론 기사, 사진 등으로 │
│││구성.│
├──────────┼─────┼────────────────────┤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2023.5.18 │- 1894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농민군, 농민군의 진압에 참여 │
│││한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이 생산한 기록. │
└──────────┴─────┴────────────────────┘
※ 자료 = 문화재청 (서울=연합뉴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