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나
| 2025-07-13 16:16:25
허민 국가유산청장 "AI·XR 활용한 국가유산 디지털 보존 추진"
지질유산 분야 첫 국가유산 수장…'반구천 암각화' 조사·연구 참여
"남북 협력 방안 고민…국가유산 보호·국민 안전 상황 점검할 것"
(파리=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허민 신임 국가유산청장은 13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가유산 보존·관리 정책을 혁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허 신임 청장은 국가유산청장 임명 사실이 발표된 직후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국가유산, 그리고 국가유산청의 역할을 재정립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AI) 정책을 언급하며 "AI나 확장현실(XR) 등의 기술을 통해 (국가유산을) 디지털로 영구 보존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공룡박사'로 잘 알려진 허 신임 청장은 지질유산 전문가다.
그는 2007년 남해안 공룡 화석지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꾸려진 추진단의 부위원장 겸 추진단장을 맡았으며, 대한지질학회장, 한국고생물학회장 등을 지냈다.
국가유산청의 전신인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위원회(현재 문화유산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질 및 자연유산 분야 전문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고생물학을 포함한 지질유산 분야 전문가가 국가유산 정책을 총괄하는 수장이 된 건 처음으로 알려졌다.
통상 국가유산 혹은 문화유산 분야에서는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을 전공하는 경우가 많다. 전임인 최응천 청장은 불교미술 전문가다.
이와 관련해 허 신임 청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를 직접 조사·연구했던 경험을 전하며 "국가유산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으로 잘 관리하고 보존하는 한편, (세계유산이)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 있는 다양한 유산을 잘 보존하고 그 가치를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허 신임 청장은 국가유산 분야에서 남북이 협력할 방안을 고민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막혀 있었던 남북 협력을 문화·관광·산업 쪽으로도 풀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관련 기관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 신임 청장은 국가유산과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겠다고 했다.
그는 "화재, 지진 등 각종 재해나 재난으로부터 국가유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국가유산) 현장을 점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