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지철
| 2023-08-18 16:33:24
"한국 해녀문화 명맥 잇기 위해 제주-전국 지자체 협력"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 위한 부산권역 순회 토론회
(부산·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한국 해녀문화의 명맥을 잇기 위해 제주도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과 지원 등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8일 부산광역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의회, 부산광역시의회 공동개최로 열린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부산권역 순회 토론회'에서 독도재단 김수희 교육연구부장은 "제주도는 한국해녀의 안정된 삶과 건강을 위해 전국 지자체와 함께 한국 해녀어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교육연구부장은 "한국의 나잠어업(裸潛漁業, 특별한 산소 호흡 장치 없이 바다에 잠수해 해산물을 채취하는 어업)은 19세기 후반 제주도 해녀가 한반도(육지) 어장으로 출향하면서 발생했다"며 "제주 해녀어업 기술이 전파되면서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문화적 가치가 인정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고 설명했다.
2017년 제주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총 1만1천556명의 해녀가 어촌계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제주에 이어 해녀 활동이 왕성한 지역이지만 2008년 1천59명, 2010년 999명, 2012년 946명 등으로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
김 교육연구부장은 "현재 고령화가 진행중으로, 부산 해녀들은 신입해녀의 진입이 없다면 '자신이 마지막 해녀'가 될 것이라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해녀문화의 명맥을 잇기 위해 한국 나잠어업의 역사적 기원지인 제주도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강조하면서 그 방안으로 해양문화사업과 해양관광산업을 주축으로 하는 전국 지자체의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해녀가 경영하는 '해녀식당' 유치를 통한 해녀 소득 창출, 해녀 양성 지원 사업 지원, 해녀문화체험 등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 등이다.
김 교육연구부장은 제주도와는 다른 타지역의 해녀-어촌계 관계를 언급하며 개선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그는 "제주도의 경우 해녀없는 마을이 없고 해녀가 자원을 직접 관리하는 어업공동체 문화가 지속하지만, 한반도(육지) 공동어장은 어촌계가 관리하고 관행에 따라 (타지역) 해녀는 과도한 어장 이용료를 납부해야 하는 등 고된 노동을 해도 병원비조차 충당할 수 없는 지역도 있어 해녀 감소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부장은 "앞으로 한반도 지역에 해녀 없는 마을이 증가할 텐데 마을어장의 바다자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해녀어업을 어떻게 지속시켜나갈지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제주도의회와 함께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이날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 순회 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
경북, 울릉군, 서해, 남해권 등에서 권역별 순회 토론회를 확대 실시해 전국 해녀들이 참가하는 '한반도 해녀포럼'(가칭)을 발족할 계획이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