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경
| 2022-03-18 16:17:46
가동률 높여도 초비상…환절기·코로나19 사망자까지 '화장대란'
부산, 인접 지자체에 SOS…경남·울산 "현재는 역부족…여력 되면 지원"
(부산·창원·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김선경 기자 = 최근 코로나19 사망자 증가 등 여파로 전국 곳곳에서 유족들이 삼일장을 치르지 못하는 '화장대란'이 벌어지는 가운데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인근 시·도와 함께 공동 대응해 화장수요를 분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8일 경남도·창원시 등에 따르면 부산시는 최근 인접한 경남도와 창원·김해시, 울산시에 각 지역에 속한 '관외 사망자 예약 제한'을 완화해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이는 최근 환절기 사망자에 더해 코로나19 사망자 증가까지 더해지며 급증한 화장수요를 소화하는 데 한계에 다다랐다는 판단 때문이다.
부산은 영락공원에 14기의 화장로를 두고 있는데, 최근 1기당 가동 횟수를 7회까지 최대로 늘려 하루 98구를 화장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도 최근 전국적인 화장대란을 고려해 각 지역 화장시설 권장 가동 횟수를 늘리도록 했다.
기존 지침은 화장로 내구성 등을 고려해 1기당 하루 3회였지만, 수도권은 하루 7회, 비수도권의 경우 하루 5회까지 풀어준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부산의 경우 가동 횟수를 최대로 늘렸어도 이날 오후 기준으로 22일까지 화장예약이 다 차는 등 밀려드는 화장 수요에 대응하기 벅찬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부산은 인접 자치단체와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는 최근 복지부가 각 자치단체와 진행한 화장시설 확대 운영 관련 회의에서도 안건으로 올랐다.
복지부는 권역별 공동 대응에 대해 강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원만한 해결을 독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장시설 운영 현황을 보면 울산(하늘공원)은 10기를, 경남은 창원(상복공원·마산화장장) 9기, 김해(추모의공원) 6기를 포함해 36기를 두고 있다.
부산에 비해서는 다소 여유가 있다고는 하지만 울산과 경남 역시 늘어난 관내 화장수요 대응을 위해 이미 화장로 가동률을 높이고 인력 재배치 등에 나선 상황인 만큼 당장의 화장대란 해소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울산시 관계자는 "다음주면 울산도 (타 지자체 화장수요까지 감당할) 여력이 없을 것 같다"며 "부산 수요까지 처리하려면 근무시간을 늘릴 수밖에 없는데, 야간까지 화장로를 가동하려면 우선 인력이 부족하고, 화장시설 내구성 문제 등도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경남 지자체 역시 현재는 타지역 화장수요까지 소화하기 쉽지 않다면서도 화장대란이 전국적으로 벌어지는 공통 현상인 만큼 여건이 개선되면 관외 사망자 화장수요 해소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창원시 관계자는 "창원에서는 지난 16일부터 삼일장이 못 이뤄지고 있고 예약이 꽉 찬 상황"이라며 "시립 화장장이기 때문에 먼저 창원시민의 화장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국민들이 (삼일장을 못하고) 오일장, 육일장을 하는 전 국가적인 상황이라면 같이 협조해 가야 한다고도 본다"며 "시일이 지나 예약이 빈 부분들이 나온다면 관외자도 넣어주는 방향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남도 관계자 역시 "이런 전국적 현상에 지역 이기주의를 내세울 수는 없다"며 "정부 정책에 따라 화장시설 운영을 최대한 확대하는 한편 관외 화장 예약 처리가 가능하다면 지원하겠다"고 답변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