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 친일행적 적은 성남 백현동 생가터 비석, 논란 끝에 철거

성남문화원, '후대에 교훈' 의도와 달리 부적절 지적에 철거 결정

이우성

| 2023-11-28 15:31:15

▲ 논란 끝에 철거되는 이완용 생가터 비석 (성남=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설치된 이완용의 친일 행적을 기록한 비석이 28일 철거되고 있다. 이 비석이 설치된 곳은 이완용의 생가가 있던 자리로 성남문화원은 이완용의 친일 행적을 알려 후대에 역사적 교훈을 전하기 위해 250만원을 들여 이 비석을 설치했다. 2023.11.28 xanadu@yna.co.kr
▲ 이완용 친일 행적 비석에 남은 신발 자국 (성남=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28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설치된 이완용의 친일 행적을 기록한 비석에 신발 자국이 남아 있다. 이 비석이 설치된 곳은 이완용의 생가가 있던 자리로 성남문화원은 이완용의 친일 행적을 알려 후대에 역사적 교훈을 전하기 위해 250만원을 들여 이 비석을 설치했다. 2023.11.28 xanadu@yna.co.kr

이완용 친일행적 적은 성남 백현동 생가터 비석, 논란 끝에 철거

성남문화원, '후대에 교훈' 의도와 달리 부적절 지적에 철거 결정

(성남=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경기 성남문화원은 후대에 역사적 교훈을 전하기 위해 최근 설치했다가 적절성 논란이 불거진 매국노 이완용(1858~1926)의 생가터 비석을 28일 철거했다고 밝혔다.

성남문화원은 이완용의 친일 행적을 알려 후대에 역사적 교훈을 전하고 경각심을 주자는 취지에서 지난 22일 백현동 이완용 생가터에 250만원을 들여 비석(가로 75㎝, 세로 112.5㎝)을 설치했다.

그러나 설치 의도와 달리 적절성 논란이 일자 설치한 지 1주일 만인 이날 오전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비석을 철거했다.

이 비석에는 이완용의 일대기가 425자로 담겨 있다.

비석에는 '이완용은 1858년 백현리에서 가난한 선비 이호석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9세 때 일가인 이호준에게 입양됐다' 등 개인사와 '을사늑약 후 내각총리대신이 돼 매국 내각의 수반이 됐다' 등 친일 행적이 함께 새겨졌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부적절한 설치라는 지적이 나오며 논란이 일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