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진
| 2022-09-30 15:26:21
정부, 日사도광산 세계유산 재추진에 "기존 약속 이행이 우선"
2024년 세계유산 위원국 노리는 韓, 지지 요청 등 관련국 협의 돌입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정부는 일본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재추천한 것에 대해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에 한 약속 이행이 먼저"라는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30일 기자들을 만나 전날 일본이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지정하기 위한 잠정 추천서를 유네스코(UNESCO)에 다시 제출한 것과 관련 "일본에 대해선 항상 사도광산 등재를 추진하기에 앞서 2015년에 군함도 등재 때 한 기존 약속 이행이 우선이다는 점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제출에 관련해서는 한국이 지금 세계유산 위원국이 아니기 때문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 당국자는 "사도광산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해 관계부처와 함께 대응 방안을 협의해 나가고 있고 이와 관련해서도 그간 수차례 TF가 만났다"고 설명했다.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재추진이 한일 관계 개선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 않냐는 질문에는 "양자관계와는 별도로 다자기구에 마련된 제도에 관련해 추진되는 사안"이라며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보이진 않고 이 건은 저희가 유네스코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또 다른 외교부 당국자도 "외교부는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대한 문제점을 유네스코와 일본에 지속 제기해왔다"고 말했다.
일본은 정상적 절차 진행시 내년 심사를 거쳐 2024년에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다고 예상하지만, 일본의 희망대로 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특히 일본은 사도광산 등재를 반대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2024년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이 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문화유산 등재 여부는 21개국으로 구성된 세계유산위원회가 결정한다. 등재 규정은 위원국 3분의 2 이상 찬성이지만 만장일치로 결정하는 것이 관례다.
2024년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거는 내년 11월 진행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오랜 기간 공을 들여야 하는 국제기구 선거 특성을 고려해 이미 지지 요청 등을 관련국과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