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민주항쟁'이냐 '2차 3·15의거'냐…민주화단체 갈등 계속

한지은

| 2022-04-13 14:51:02

▲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기자회견 [촬영 한지은]
▲ 4·19 혁명 도화선 '김주열 열사' 동상 [창원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4·11민주항쟁'이냐 '2차 3·15의거'냐…민주화단체 갈등 계속

(창원=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3·15의거 당시 행방불명된 김주열 열사가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마산 앞바다에 떠오른 1960년 4월 11일을 '4·11민주항쟁'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지역 민주화운동단체 간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이하 김주열사업회)는 13일 경남 창원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11민주항쟁'이 아닌 '제2차 3·15의거'라고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한 3·15의거기념사업회(이하 3·15사업회)를 비판했다.

김주열사업회는 "3·15사업회가 주장하는 '제2차 3·15의거'라는 용어는 3·15의거가 하루 동안 있었던 의거라고 이해하기 쉽다"며 "4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일어난 마산시민의 항쟁은 4·19혁명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3·15의거를 4·19혁명으로 이어준 역사적 사건이 바로 '4·11민주항쟁'"이라며 "3·15사업회가 '4·11민주항쟁'이라는 용어를 사용 못 하게 하는 것은 자유 민주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김주열사업회는 3·15사업회에 사과를 촉구하는 한편 창원시에 '4·11민주항쟁' 명칭과 관련한 토론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지난 11일 '제62주년 4·11민주항쟁 기념 및 김주열 열사 추모식'이 열리자 3·15사업회를 비롯한 3·15 관련 10개 단체는 '제2차 3·15의거'로 표현하는 것이 맞는다고 지적했다.

10개 단체 측은 경남도와 창원시에 질의서를 보내 "대한민국 정부와 국회(법률)는 3·15의거를 '1960년 3월 15일부터 4월 13일까지(를 전후해) 마산에서 일어난 의거'로 규정하는 점 등을 근거로 '4·11민주항쟁'이라는 자의적 용어 사용은 상식에 도전하는 역사적 폭거"라고 비판했다.

김주열사업회는 "3·15특별법은 각각 다른 날짜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을 모두 '3·15의거'라는 명칭으로 통일해야 한다고 규정한 것이 아니다"며 "그 법에는 3·15사업회가 주장하는 '제2차 3·15의거'라는 용어는 없다"고 반박했다.

앞서 두 단체는 김주열 열사 동상 설치과정에서도 같은 문제로 한동안 대립했다.

당시 양측은 역사적 해석 등을 통해 향후 정리해야 할 부분이라는 데 공감하고 논란이 된 명칭을 '60년 4월 11일'로 정리하기로 의견을 모은 바 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