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지
| 2022-12-27 11:15:01
서울 한강서 멸종위기 수달 15마리 서식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한강 일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 15마리가 서식하고 있다고 서울시가 27일 밝혔다.
2016년 탄천 하류에서 수달이 목격된 이후 2017년 4마리가 발견된 데 이어 이번에 15마리가 발견됐다.
시는 최근 한강 본류와 탄천, 중랑천, 여의도 샛강 일대에서 수달이 서식 흔적을 발견했고 수달 분변에 대한 유전자(DNA) 추출 실험을 한 결과 15마리가 서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1974년 팔당댐이 완공돼 수달의 이동 경로가 단절된 이후 서울 한강 유역 내 수달이 서식한다는 공식적인 조사 기록이 없다가 2016년 한 시민이 탄천 하류에서 헤엄치는 수달을 봤다고 제보했다. 2017년에는 무인 카메라 조사에서 수달 4마리가 서식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그 이후에도 수달이 종종 목격됐다.
이에 시는 서울 지역의 수달 서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올해 11월까지 '한강 수달 서식 현황 및 적정 관리방안' 학술용역을 시행했고, 팔당댐 하부에서 난지한강공원에 이르는 구간 곳곳에서 수달의 출현 흔적을 확인했다.
시는 한강 변의 우수한 생태습지를 보호구역을 지정해 건강한 생물 서식지를 확보했고 강변의 콘크리트 인공호안(하천의 하안, 제방을 침식으로부터 보호하는 공작물)을 자연소재로 대체해 한강의 자연생태계가 한층 개선됨에 따라 수달과 같은 지표종(특정 지역의 환경 상태를 측정하는 척도로 이용되는 생물)이 생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시민에게 한강 수달의 보호 가치에 대해 널리 알리고 수달의 출현이 예상되는 지역에 보호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등 수달 서식지를 보호하고 위협요인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함께 기울이기로 했다.
유영봉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한강 본류와 일부 지류 하천에도 수달의 출현이 잇따라 발견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서울시 자연생태 관리의 산물"이라며 "앞으로도 사람, 생물, 자연이 서로 조화롭게 공존하는 건강한 한강생태축을 만들어가도록 다양한 자연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