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갯벌' 체계적 관리…세계유산 발전협의체 내일 첫 회의

김기훈

| 2021-08-12 11:00:07

▲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 현황 [해양수산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의 갯벌' 체계적 관리…세계유산 발전협의체 내일 첫 회의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해양수산부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갯벌'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전하기 위해 정부·시민단체·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세계유산 민·관 발전협의체'를 구성해 이달 13일 첫 회의를 연다고 12일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달 26일 21개 위원국 만장일치로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 갯벌을 국내 15번째 세계유산이자, 두 번째 자연유산으로 등재 결정했다.

한국의 갯벌이 멸종위기종인 철새의 기착지로서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앞서 한국 정부는 2019년 세계유산 등재 신청 시 습지보전법에 따라 해당 갯벌에 대한 보호·관리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세계유산 민·관 발전협의체에서 갯벌에 대한 구체적 관리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첫 회의에서는 협의체의 운영 방향과 더불어 한국 갯벌에 대한 관리계획 등이 전반적으로 논의된다.

협의체는 또 한국의 갯벌에 대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관으로 '세계유산통합센터'를 설립해 운영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아울러 해수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2025년 개최 예정인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까지 주요 철새 서식지인 군산, 무안, 화성 등 인근 습지보호지역에 대한 2단계 추가 등재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윤현수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발전협의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해 한국의 갯벌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다양한 기능을 미래세대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