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주
| 2023-02-23 09:24:39
독립기념관, 국내외서 발견된 독립선언서 원본자료 32점 공개
3·1절 맞아 27일 특별 공개 행사…2·8 독립선언서 영문 필사본도
(천안=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3·1운동 당시 국내외에서 제작·배포됐지만, 그동안 실물이 공개되지 않았던 독립선언서류 원본 총 32점이 일반에 공개된다.
독립기념관은 오는 27일 밝은누리관에서 제104주년 3·1절을 맞아 특별 자료 공개 행사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독립선언서류는 크게 3가지다.
첫 번째 자료는 전남 목포, 경남 통영·하동, 평북 철산 등지에서 발견된 3·1 독립선언서들이다.
1983년 2월 목포 정명여중 교실 보수작업 중 천장에서 발견된 2·8 독립선언서와 3·1독립선언서는 당시 영흥학교 교장 다니엘 커밍(Daniel J. Cumming, 김아각)에게 전달된 봉투 속에 담겨 있었다.
평안북도 철산에서 발견된 독립선언서는 당시 연희전문학교 학생 정석해(鄭錫海)가 보낸 것으로, 학교 등사판으로 등사한 독립선언서다. 뒷면에는 철산에서의 봉기를 촉구하는 글이 적혀 있다.
경남 하동에서 발견된 독립선언서는 대한독립선언서와 3·1독립선언서의 내용을 참조해 작성됐고, 하동 만세 시위를 주도한 박치화 등 12인의 대표자 명의로 된 선언서다.
두 번째 자료들은 미주 한인단체 대한인국민회가 보관했던 독립선언서로 국내 및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 배포된 대한독립선언서와 대한여자독립선언서,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다. 이들 선언서는 미주로 전달됐기에 현재까지 보존될 수 있었다.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일제문서나 상해판 '독립신문'에 그 내용이 소개됐지만, 원본이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임시정부의 연통제 설립과 관련해 제2의 독립선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제작됐다.
2·8 독립선언서의 영문 필사본과 타자본은 대한인국민회 소장자료로 6쪽 분량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2·8 독립선언서 중 가장 먼저 작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3·1독립선언서는 비폭력 혁명 방법을 채택했으나 2·8 독립선언서는 최후의 1인까지 혈전을 불사하겠다고 선포했고, 대한독립선언서는 '육탄혈전'으로 독립을 완성할 것을 선포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 자료는 3·1절 기념 선언문들이다. 친일 외교 고문 스티븐슨을 처단한 미주의 전명운 의사가 3·1운동 기념식장에서 낭독한 독립선언서와 중국 각지를 떠돌며 고난 속에서도 항일투쟁을 했던 독립운동단체들이 매년 3·1절 기념 선언식을 거행했던 기념선언서들이 포함된다.
독립기념관 관계자는 "그동안 실물이 공개되지 않았던 다양한 독립선언서를 통해 한국독립 정신의 원천이 된 3·1정신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