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화첩' 반환 이끈 선지훈 신부, 은관문화훈장 받는다

올해 문화유산보호 유공자 포상 수상자에 개인 10명·단체 2곳 선정

김예나

| 2022-12-08 09:25:44

▲ 선지훈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서울분원장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우리나라에 돌아온 겸재 정선의 화첩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행사에서 관계자가 2005년 독일에서 돌아온 겸재 정선 화첩을 살펴보고 있다. 국외소재문화재단 설립 10주년을 맞이해 열리는 이번 특별전은 오는 7일부터 9월 25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2022.7.6 hkmpooh@yna.co.kr
▲ 신탁근 전 온양민속박물관장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남문현 건국대 명예교수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한복려 국가무형문화재 조선왕조궁중음식 보유자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겸재 화첩' 반환 이끈 선지훈 신부, 은관문화훈장 받는다

올해 문화유산보호 유공자 포상 수상자에 개인 10명·단체 2곳 선정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독일에 있던 겸재 정선(1676∼1759)의 화첩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선지훈(62)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서울분원장이 은관문화훈장을 받는다.

문화재청은 선지훈 서울분원장을 포함한 '2022 문화유산보호 유공자 포상' 대상자를 8일 발표했다.

올해 수상자는 문화훈장 5명, 대통령표창 4명과 단체 2곳, 국무총리표창 1명 등이다.

은관문화훈장 수상자로 선정된 선지훈 서울분원장은 가톨릭교회 수도승 수도회인 성베네딕도회 소속 왜관수도원 성직자로, 독일에 있는 우리 문화재 발굴과 보존 연구에 공을 세웠다.

지난 2005년 국내에 돌아온 화첩은 겸재 정선의 작품 21점이 수록돼 있다.

화첩은 독일 상트오틸리엔 수도원의 노르베르트 베버 원장이 1911년과 1925년 한국을 방문했을 당시 수집해간 것으로 전해졌는데, 왜관 수도원과의 오랜 관계에 힘입어 영구대여 방식으로 돌아왔다.

선지훈 서울분원장은 당시 문화재 반환을 여러 차례 설득하며 수도원 측의 결심을 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 외에도 100년 전 식물표본 420점을 국내에 들여오는 데도 힘을 보탰다.

민속 유물 분야의 권위자로 잘 알려진 신탁근(75) 전 온양민속박물관장은 전국 사립박물관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은관문화훈장의 영예를 안았다.

보관문화훈장은 자격루를 복원하고 전통 과학기술과 관련한 학술 발전에 기여한 남문현(80) 건국대 명예교수, 사라져가는 전통 옹기를 전통 방식 그대로 복원시킨 김일만(81) 옹기장이 받는다.

옥관문화훈장 수상자로는 지역사회 전통문화 계승과 통합에 큰 역할을 한 김귀엽(76) 부산시 무형문화재 구덕망깨소리 보유자가 선정됐다.

대통령 표창은 개인 4명과 단체 2곳이 각각 수상 대상자로 뽑혔다.

조선왕조 궁중음식을 체계화하고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한복려(75) 국가무형문화재 조선왕조궁중음식 보유자와 김쾌정(75) 허준박물관장, 정문길(79) 경북 무형문화재 와장 보유자 등이 표창을 받는다.

안중근 의사의 유묵 2점이 한국에 무상으로 기증될 수 있도록 노력한 니시모리 시오조(西森潮三·82) 일본 고치현 일한친선협희 명예회장은 외국인으로서 표창자로 선정됐다.

단체 부문에서는 지난해 '한국의 갯벌'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올리는데 기여한 '한국의갯벌 세계유산등재 추진단'과 한국의 문화유산을 알리는 데 앞장서 온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각각 선정됐다.

국무총리 표창은 김포시 최고령 문화관광해설사로 활동해 온 김기송(89) 문화관광해설사가 받는다.

시상식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한국문화재재단 민속극장 풍류에서 열린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