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행정구역 명칭 변화상은…지명학회 학술대회

박상현

| 2021-10-28 07:30:00

▲ 일제강점기 건설된 부산 우암동 소 막사 사진은 기사와 관계없음.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명칭 변화상은…지명학회 학술대회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행정구역 명칭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학술 행사가 열린다.

한국지명학회는 30일 단국대 죽전캠퍼스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지명 변경과 결과'를 주제로 온라인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자들이 서울, 부산, 경남 진주, 전남 완도, 인천·수원·개성 등 다양한 지역의 지명을 연구한 성과를 발표한다.

학회장인 이건식 단국대 교수는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를 주제로 작성한 발표문에서 일제가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행정구역을 통합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일제는 한국 토지 경제권을 장악하기 위해 토지조사 사업을 전개했고, 행정구역 통폐합은 일제 이익을 실현하는 방향에서 이뤄졌다"며 "일본식 지명과 한국식 지명이 양립할 경우 전자가 우선시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1913년 시가지로 정해진 29개 지역의 일본식 행정구역 명칭 비율은 72.3%였으나 1939년에는 79.4%로 상승했다"며 "일제는 동(洞)·리(里) 대신에 일본식 행정구역 명칭인 정(町)·통(通)을 사용하고자 했다"고 지적했다.

박용식 경상국립대 교수는 1914년 전후 진주의 지명을 분석한 뒤 "새로운 지배 세력이 지명을 바꾸게 되면 지명의 역사성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며 "일제강점기 때 생성된 이름의 대부분이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