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추석 휴일은 '하루'…성묘 하고 가족·친지 음식 나눠

한때 '봉건 잔재' 취급받아 폐지되기도

이은정

| 2025-10-06 06:00:02

▲ 추석 성묘하는 북한 주민들 (평양 조선신보=연합뉴스) 추석인 지난 14일 평양 평양시 해외동포애국자묘에서 북한 주민들이 성묘를 하고있다.

북한 추석 휴일은 '하루'…성묘 하고 가족·친지 음식 나눠

한때 '봉건 잔재' 취급받아 폐지되기도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북한에서도 추석은 민족 명절로 보낸다. 통상 3일의 연휴 기간을 보내는 한국과 달리 북한에서는 추석 당일인 6일 하루만 쉰다.

일반적으로 추석날에는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하고, 햇곡식으로 만든 음식으로 제사를 지낸다.

성묘가 끝나면 가족, 친척끼리 모여 음식을 나눠 먹는 문화는 남측과 비슷한 풍경이다.

대표적인 추석 음식으로는 지역 특성에 따라 해콩, 참깨, 밤, 대추 등을 넣은 송편과 찹쌀가루를 둥글게 빚은 뒤 꿀과 삶은 밤을 고명으로 묻힌 밤단자 등이 있다.

씨름, 그네뛰기, 밧줄 당기기 같은 민속놀이를 하고 밤에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비는 풍습도 남한과 유사하다.

다만,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는 북한에서 거주지와 다른 지역에 있는 묘소에 가려면 당국에서 발행하는 통행증이 필요하다.

북한은 한때 추석을 포함한 민속 명절을 봉건 잔재로 간주해 없애기도 했다.

1967년 김일성 주석은 '봉건 잔재 일소' 지시를 내려 추석 등 민속 명절을 폐지했다.

그럼에도 주민들 사이에서 추석 성묘 풍속은 암암리에 유지돼왔으며 1980년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체제 수호를 위해 '우리민족제일주의'를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그 일환으로 1988년 추석 명절이 공식 부활했다.

'고난의 행군'을 겪으며 민속 명절을 당과 수령에 대한 충성심을 다지는 등 체제 결속을 강화하는 계기로 활용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노동당 간부나 주민들은 대성산 혁명열사릉, 신미리 애국열사릉, 조국해방전쟁 참전열사묘 등에 꽃을 바치고 넋을 기리기도 한다.

(끝)

[ⓒ K-VIB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